> 내과검진센터 > 소화기내과
우리나라 사람들이 가장 많이 호소하는 상복부 혹은 위장과 관련된 증상입니다. 소화불량, 속쓰림, 헛구역질, 트림, 상복부통증, 복부팽만감, 체중감소 등 가장 흔하게 접할 수 있는 다양한 위장질환 관련 증상을 말합니다.
위점막에 염증이 생기는 것을 위염이라 하고, 위궤양과 십이지장 궤양은 위나 십이지장 점막 뿐만이 아니라 근육층까지 헐어버리는 질환입니다.
용종이란 점막의 표면 위로 솟아 올라온 혹을 말합니다. 위에 발생한 용종을 위용종이라 하며 위용종은 염증성 용종, 과증식성 용종으로 분류될 수 있습니다. 대부분 우연히 발견되어 위암에 대한 막연한 불안감에 싸이게 하는 질환인 위용종은 대개 양성 질환이며,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면 암으로 진행하지 않습니다.
점막에서 발생한 악성 종양을 일반적으로 위암이라고 합니다. 점막층과 점막하층에 국한된, 비교적 병변이 얕은 경우를 특히 조기위암으로 분류하고 있습니다. 조기위암은 적절히 치료받았을 때, 90% 이상의 5년 생존율과 80% 이상의 10년 생존율을 보여주고 있어 조기에 발견되는 것이 중요합니다.
위나 십이지장의 내용물이 식도 내로 유입되어 임상적 및 조직병리학적 변화를 초래한 상태를 일컬으며, 역류성식도염은 염증을 동반한 미란, 궤양 등의 식도 점막 손상을 말합니다. 일반적으로 치료에 대한 반응은 좋은 편이나 질병의 특성상 재발하기 쉽다는 점이 있습니다.